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란‑이스라엘 전면전? 왜, 어떻게 긴장 고조됐나?

by 하루도움 2025. 6. 24.

이란‑이스라엘 전면전 왜, 어떻게 긴장 고조됐나? 관련 사진

2025년 6월, 중동에 전운이 감돈다

2025년 6월, 이란과 이스라엘 간 긴장이 한층 고조되었습니다. 서로에 대한 대규모 공습·미사일 공격이 12일간 이어지다가, 6월 24일 휴전 합의가 이루어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왜 지금 전쟁 직전까지 갔는지, 핵·미사일·대리전·미국 역할 등 주요 요인을 날짜와 사실 중심으로 정리해 드립니다.

 

최신 정황 요약 (6월 13일~24일)

  • 6월 13일: 이스라엘 ‘작전 라이징 라이온(Operation Rising Lion)’을 개시. 이란 핵·미사일 시설과 IRGC 기지를 표적으로 공습 및 모사드 드론·사이버 공격이 동반된 전략을 실행.
  • 같은 날, 이란은 150~200여 개의 탄도미사일 및 무인기(드론)를 이스라엘로 발사, 큰 충돌로 확산.
  • 6월 19일, 이란의 실질 도심 미사일이 남부 베에르셰바의 소로카 병원을 직격해 중상자와 피해 발생.
  • 6월 21일, 이스라엘 군은 이란 쿰 지역의 쿠즈스 군 지휘관 사에드 이자디(Saeed Izadi)를 포함한 핵·미사일 관련 고위 지휘관 2명을 제거했다고 발표.
  • 6월 22~23일, 미국 B‑2 스텔스 폭격기로 이란 핵시설(Fordow, Isfahan 등) 추가 타격. 이어 이란은 카타르 미군 기지·이스라엘 주요 도시에 미사일 보복.
  • 6월 23일: 양측 모두 강한 공세를 이어가면서 피해와 긴장감은 극대화.
  • 6월 24일 새벽,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 중재로 이스라엘과 이란 간 ‘12일 전쟁’ 휴전 합의. 그러나 미사일 발사가 휴전 직전까지 이어졌음.

전쟁 위기, 핵심 요인 6가지

  핵심                          요인설명
① 핵·미사일 프로그램 이란의 60% 농축우라늄, Qassem Bassir 미사일,
Fordow·Isfahan 타격 등 핵·미사일 역량이 이스라엘의 주표적
② 선제·응징 공습 전략 이스라엘, 트럼프 미국과 공조해 공습—드론·특수부대 동원, 타격 목적은 핵·미사일 사거리 무력화
③ 대규모 보복 미사일 이란은 150여개 미사일 발사하며 "Operation True Promise 3" 실행. 대형 탄도미사일과 드론 혼합
④ 민간시설 피해 확산 남부 병원·병원 피해, 민간층 충격 확대. 소로카 병원, 베에르셰바 등 타격 사례 다수
⑤ 미국의 역할 B-2 폭격기 투입, 휴전 직접 중재, 이란 미군 기지 타격 시도 등 미국 역할이 전면에
⑥ Mossad의 은밀전 투입 드론 기반 첩보·사보타주 작전. 이란 내부 미사일 사거점 타격, 방어망 와해

전쟁 직전까지 간 이유 총정리

  1. 핵 위협
    이란의 농축우라늄 60% 이상 고농축 추진, Qassem Bassir 최신 미사일 전력 공개로 이스라엘은 "존재론적 위협" 간주
  2. 전략적 선제타격
    모사드와 IAF 연계 작전으로 "핵·미사일 인프라 파괴"를 우선 목표
  3. 참혹한 대규모 보복
    이란은 대륙간 탄도미사일 다수 투입, 도심 병원 포함
  4. 미국 개입
    B‑2 폭격, 휴전 조율, 미군 기지 보호 등 중재·지원
  5. 정보전과 첩보전
    드론·사이버·스파이 작전으로 하이브리드 전개
  6. 민간 피해 확산
    의료·주거 등 일반 시설 다수 타격돼 긴장감 심화

6월 24일 기준: 휴전, 그러나 향후 전망은 불투명

  • 6월 24일 오전, 양국은 휴전에 동의했습니다. 이스라엘은 오전 12시 / 이란은 오전 07시 그린위치 기준 휴전 돌입.
  • 휴전 직전까지 미사일 발사 계속됐으며, 희생자도 발생.
  • 이란은 핵협상 거부, 이스라엘은 핵·미사일 역량 일부 유지 원칙 주장 중.
  • 국제 사회(중국·러시아·터키·EU)는 "긴급 휴전·외교 복귀" 요구 중.

왜 “전면전” 아닌 “하이브리드 소규모 전쟁”인가?

  • 직접 군대 동원 정도의 정규전은 아직 억제됨.
    대신 공습 + 드론 + 첩보 + 미사일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전쟁 양상.
  • 민간 피해 급증 → 중동 전역 불안 요소로 확대
  • 미국 개입이 크지만 전면전은 방지: 트럼프 전 대통령 중재로 휴전 유도, 대리전쟁 양상 유지 가능성
  • 향후 방향:
    • 휴전 성패 여부와 휴전 기간
    • 핵협상 복귀 또는 재협상
    • 이란 내부 피로도 및 전략 변화
    • 중동·유럽 등 국제사회 압력

✅ 요약

  • 전쟁직전까지 간 이유: 이란 핵·미사일 위협 → 이스라엘 + 미국 선제공습 → 이란 대규모 반격 → 민간 피해 확대 → 휴전 합의
  • 2025년 6월 24일 현재: 휴전 중이나 긴장은 여전. 핵·미사일 불신, 외교 갈등, 지역 연쇄 효과 등으로 재충돌 가능성 상존
  • 앞으로의 핵심 변수: 휴전 지속 여부, 핵협상 복귀, 국제사회 역할, 이란의 내부 변화